1. 화장품 보존력 시험법이란?
화장품의 품질 및 안전관리를 위해 화장품(제품)의 보존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보존력 시험법에서는 화장품에 시험 대상 미생물을 접종하고 시험균의 생장, 생존 및 사멸을 확인하여 일반적인 제조 환경이나 소비자 사용환경에서의 화장품 보존력을 평가한다.
2. 화장품 보존력 시험의 목적
국제 공인 보존력 시험법을 비교‧분석하여 시험법 구성, 절차, 조건 및 시험 시 주의사항 등을 제공하여 실무자들이 시험을 수행하는데 참고할 수 있다.
화장품의 제조 및 사용 과정에서 미생물 오염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 또는 인체 감염 등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제를 사용하며, 첨가된 보존제가 미생물의 생장 억제 또는 항균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보존력 시험은 화장품 개발 시 사용기한을 설정하거나, 제조 및 사용 시 제품의 보존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수용성 제품류(미생물 증식이 쉬운 제품), 눈 주위 제품류(미생물 오염 시 도포 부위에 인체 감염 등의 위해도가 높은 제품, 비수분산 제형 제외) 및 입술 제품류(도포 부위에 미생물이 많아 화장품의 변질 가능성이 높은 제품, 비수분산 제형 제외)에 대해 보존력 시험을 권장한다.
이런 보존력 평가는 법적 의무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과학적인 방법을 근거로 자체적인 시험방법을 확립하여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3. 보존력 시험 수행 시 주의사항
모든 시험과정에서의 미생물 오염 방지, 온도 관리(냉동·냉장 보관), 제품 취급 시 소독 수행(70% 에탄올 소독), 검체 채취 시 정량 소분, 검체 채취 시 시료 크기 확인
4. 보존력 시험법의 절차 및 수행 방법
시험용 미생물은 5개 균주에 대해 시험을 진행한다.(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Candida albicans, Aspergillus brasiliensis)
배양된 균을 완충식염펩톤수(pH 7.0)에 희석하며, 곰팡이의 경우 Tween 80 0.05%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희석하여 균액을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균액은 보존력 평가대상 검체의 균의 농도가 약 106 CFU/g(mL) (세균) 및 105 CFU/g(mL) (효모, 곰팡이)가 되도록 제조되어야 하며, 준비된 균액은 2시간 내에 사용한다
검체의 전처리는 검체 내 보존제 등 미생물발육저지물질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여 실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검체에 희석액, 용매, 중화제 등을 첨가하여 검체를 충분히 분산시키고 검체 제형에 따라 다음의 각 방법으로 전처리 과정을 진행한다
- 액제‧로션제(화장수, 샴푸, 로션, 린스 등) : 접종된 검체 1mL 또는 1 g에 변형레틴액체배지또는 검증된 배지나 희석액 9 mL를 넣어 10배 희석액을 만든다.
5. 배지성능 및 시험법 적합성 시험
배지성능 및 시험법 적합성 시험은 본 시험에 들어가기 전 시험 재료 및 방법을 신뢰할 수 있는지 미리 검증하는 과정이다. 검체 내 미생물발육저지물질이 전처리 과정에서 충분히 제어되지 않는 경우나 시험재료가 오염되어 있는 경우 정확한 미생물 수를 측정하기 어렵다. 이에 화장품성분에 의해 접종균이 사멸하지 않는지 확인하는 시험법 적합 확인과 희석액과 배지가
오염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무균상태 확인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6. 검체 준비 및 접종
검체는 제품 자체를 사용하거나 일정량을 멸균 용기에 옮겨서 사용하며, 최소 20 mL 또는
20 g의 제품을 사용한다. 이때 뚜껑이 있는 멸균 용기를 사용하여 시험 중 외부환경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7. 검체 보관
교반이 완료된 검체는 미생물 배양기를 사용하여 상온 범위(22.5 ± 2.5°C)에서 보관하면서 시험을 수행한다.
8. 검체 채취
평가일은 접종 직후와 접종 후 7, 14, 28일이며, 평가일마다 검체를 충분히 교반한 뒤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1 mL 또는 1 g의 검체를 채취한다.
9. 미생물 수 확인
전처리법에 따라 검액을 제조한다. 한천평판도말법에 따라, 검액은 최소 2개의 평판배지에 0.1 mL를 도말하며, 검출 한계를 낮추기 위하여 3개의 평판배지에 1 mL를 나누어 분주한 뒤 도말한다. 또는 한천평판희석법에 따라, 검액 1 mL을 최소 2개의 페트리접시에 넣고 그 위에 멸균 후 45°C로 식힌 시험용 배지 15 mL를 넣어 잘 혼합한다. 평판당 300개 이하의 CFU를 최대치로 하여 세균수를 측정하고, 평판당 100개 이하의 CFU를 최대치로 하여 진균수를 측정한다. 만일, 희석수가 다양할 경우 최대 균집락수를 갖는 평판을 사용한다.
10. 결과 평가
보존력 시험 결과는 세균의 경우 접종 0일 차와 비교했을 때 접종 7일 차에 99.9% 이상 사멸(3 log reduction 이상)하는지 여부와 접종 7일 차와 비교했을 때 접종 14, 28일 차에 미생물 생장이 나타나지 않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효모의 경우 접종 0일 차와 비교했을 때 접종 7일 차에 90% 이상 사멸(1 log reduction 이상)하는지 여부와 접종 7일 차와 비교했을 때 접종 14, 28일 차에 미생물 생장이 나타나지 않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곰팡이의 경우 접종 0일 차와 비교했을 때 접종 7, 14일 차에 미생물 생장이 나타나지 않는지 여부와 접종 0일 차와 비교했을 때 접종 28일 차에 90% 이상 사멸(1 log reduction 이상)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평가한다.
미생물 접종 7일 후 확인된 결과가 평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제품의 품질을 개선한 후 보존력 시험을 수행한다.
'화장품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있나요? 화장품의 유통기한? 사용기한? (0) | 2023.01.18 |
---|---|
화장품 바로 알고 사용하자~ 일상적인 화장품 사용 시 주의사항 (0) | 2023.01.18 |
화장품 위협하는 글리터(Glitter) 들어보셨나요? (0) | 2023.01.17 |
화장품에 반드시 기재 또는 표시되어 있어야 하는 사항 (0) | 2023.01.17 |
화장품 위해물질을 바로 알아보자!(5) - 다이옥신이란? (0) | 2023.0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