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장품 바로알기

화장품의 스테로이드(Steroid) 성분의 위험성

by 코스멧 2023. 1. 19.
728x90

화장품의 스테로이드(Steroid) 성분의 위험성

1. 스테로이드(Steroid)의 정의

스테로이드[steroid]는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 · 담즙산 호르몬등이 포함되는데, 코르티손 등 부신피질 호르몬에는 강한 항염증작용이 있어서 피부에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우리 몸의 부신피질에서 분비되어 부신피질호르몬 으로도 불리는 스테로이드호르몬은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고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물질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유사한 구조의 다양한 합성물질이 소염제 등 의약품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총칭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이라고 부르나, 부작용이 있어 신중히 사용하여야 한다.

연번 검출성분 스테로이드 등급 분류
1 클로베타솔 프로피오네이트 1등급(0.05% 크림, 연고)
2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니드 4등급(0.1%연고)
5등급(0.25%크림)
6등급(0.1% 크림, 로션)
3 21-초산프레드니손 국소적용(피부)치료제로의 등급 분류 부재
* 프레드니손은 프레드니솔론의 전구체(간대사 후 프레드니솔론으로 변환)
4 길초산 베타메타손 3등급(0.1%연고)
4등급(0.1%로션)
5등급(0.1%크림)
6등급(0.1%로션)

 

2. 스테로이드 성분의 부작용

이 스테로이드 성분은 효과가 매우 좋고 유용하나, 무분별하 게 사용하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의약품의 경우에도 사용량, 사용기간, 사용법 등을 잘 지켜 사

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에는글루코코티코이드’, ‘스테로이드 구조를 갖는 안티안드로겐을 배합금지성분으로 지정하여, 스테로이드 성분을 금지하고 있다.

여드름 등 피부 트러블(trouble)이 있는 사람이 바르면 일시적으로 피부 개선 효과를 보이나, 감염증, 부스럼, 모낭염 등 피부증상 등의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장기 사용시 스테로이드성 여드름, 스테로이드성 피부(피부위축, 붉은 반점, 모세혈관 확장)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3. 화장품에 스테로이드 성분이 들어가는 이유는?

화장품에 사용하는 이유는 피부질환에 스테로이드 성분을 바르면 단기간에 효과가 나타나지만 여러 부작용 때문에 사용시 주의가 요망된다.

치료목적으로 스테로이드연고를 사용할 때도 장기 사용은 금물이고 증상이 나아가는대로 양을 줄여야 한다.

특히 아토피에 좋다는 화장품들은 스테로이드제 성분이 들어있는게 아닌지 잘 확인 하여야 한다. 스테로이드가 들어있는 화장품을 사용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아토피 증상 등이 빠르게 완화 되지만 사용량이 정해져 있지 않은 화장품은 스테로이드제 과다사용으로 피부를 더욱 망가트릴 수 있다.

 

4. 잘쓰면 약 못쓰면 독이 되는 스테로이드

스테로이드제제는 장기 사용 또는 부적절한, 무분별한 오남용시 효과를 넘어서는 치명적인 부작용들이 있어 늘 주의를 요합니다.

피부에 직접 바르는 스테로이드 연고는 피부의 과한 면역반응을 조절하여 여러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알러지 등에서 일어나는 과한 혈관확장을 조절하여 혈관을 통해 몰려오는 염증세포들의 반응을 줄이고, 거칠어진 피부 장벽기능을 회복하여 각질이 일어나고 따갑고 거친 피부결을 호전시켜주며 피부염으로 울긋불긋하던 피부톤이 염증이 회복되면서 뽀얗게 개선될 수 있어 연고를 사용하면 대개 수일 내에 일시적으로 피부가 매끄럽고 촉촉한 느낌을 받게 된다.

 

5. 화장품속 스테로이드제가 치명적인 이유

스테로이드 연고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우리 몸에서 정상적인 회복기능을 담당하는 내츄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기능이 오히려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피부 면역반응의 저하 및 불균형, 피부 장벽의 회복 능력 감소로 이어지고, 스테로이드제제에 의해 과도하게 혈관수축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반동 현상으로 서서히 새로운 혈관들이 더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이 오래되면 피부에 혈관이 늘어나고 잘 조절되지 않는 심한 홍조가 생기며, 피부가 얇아지고 위축되어고, 외부 자극에 대한 정상적인 피부 면역반응이 원할하지 않아 세균감염등에 취약해지고 약한 자극에도 쉽게 피부가 뒤집어지는 알러지, 접촉 피부염 등이 나타나며, 피부 보호막 기능이 유지가 되지 않아 만성 습진성 피부로 전환된다.

 

6. 스테로이드제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였을 때 대처법

스테로이드제로 인한 부작용 발생시에는 해당 스테로이드제의 사용을 즉각 중단하여야 한다. 부작용이 발생했을 경우는 반드시 피부과 전문의의 상세한 진료를 보아야 한다.

 

7. 부작용을 겪었을 때 피해보상 받을 수 있을까?

화장품에서 부작용 발생시 즉시 사용을 중지하고 구입하신 판매점이나 제조업체에 연락하여 반품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피해 보상과 관련하여서는 현재 정부 차원에서 보상할 수 있는 법률적 절차는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한국소비자원(국번없이 1372) 등 관련 기관 또는 법률전문가와 상의하여야 한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