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화장품 바로알기31

알고있나요? 화장품 원료 사용기준? 1. 화장품 원료의 사용 제한 2012년 전면 개정된 「화장품법」에서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와 사용상의 제한이 필요한 원료를 지정하고 그 밖의 원료는 화장품 책임판매업자의 안전성에 대한 책임하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네거티브 리스트(negative list) 방식으로 전환하여, 이에 따라 화장품제조업자 및 책임판매업자는 법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사용하려는 원료의 안전성에 대한 책임하에 다양한 화장품 원료를 개발·사용할 수 있고, 화장품 소비자는 인체에 의해 가능성이 있는 원료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2.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상 제한이 필요한 원료에 대한 사용기준 1.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화장품의 제조 등에 사용할 수 없는 원료를 지정하여 고시해야 한다. 또한 보존제, 색소, 자외선차단제 등.. 2023. 1. 14.
기능성 화장품 이렇게 확인하세요! 1. 기능성 화장품의 정의 1. (미백)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제품(피부에 멜라닌색소가 침착하는 것을 방지해 기미·주근깨 등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과 피부에 침착된 멜라닌색소의 색을 엷게 하여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2. (주름개선) 피부의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 피부에 탄력을 주어 피부의 주름을 완화 또는 개선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3. (자외선 차단) 피부를 곱게 태워주거나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제품(강한 햇볕을 방지해 피부를 곱게 태워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과 자외선을 차단 또는 산란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 4. (염모) 모발의 색상 변화·제거 또는 영양.. 2023. 1. 13.
화장품 중 향수(Perfume)의 유래와 발전 1. 향수의 정의 Perfume(향수)는「연기를 내어 통과한다」라는 의미의 라틴어인 perfumare에서 나온 것으로 향료를 알코올 등 휘발성 물질에 용해해 희석한 화장품으로, 향수 원액의 농도에 따라 퍼퓸, 오듯 퍼퓸, 오드투알레트, 오듯 콜로 뉴로 나눌 수 있다. 향수의 기원은 종교적 의식, 곧 신과 인간의 교감을 위한 매개체로부터 출발하였다. 그 역사는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고대 이집트 문명 시기인 약 5천년 전으로, 신을 신성하게 여겨온 고대의 사람들이 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몸을 청결히 하고, 향기가 풍기는 나뭇가지를 태우며, 향나무잎으로 즙을 내어 몸에 발랐다. *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화장품으로 종교적 의식 및 교감을 이루는데 사용되던 것이 시초로 기독교, 힌두교, 이슬람교, 불교 등 대부분의.. 2023. 1. 1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