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납(Lead)의 정의
납(Pb)은 금속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큰 물질이며, BC 1500년경부터 인류에 의해 사용되어진 가장 역사가 긴 중금속 중의 하나이고, 지구 표층에 비교적 풍부하다.
금, 은, 철, 구리, 주석, 수은을 포함하여 인류가 고대부터 사용한 일곱 가지 금속 원소 중 하나인 납은 무르고 녹는점이 다른 금속에 비해 낮아 가공하기가 쉬우며, 밀도가 높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성질을 갖는다.
납은 자연계에서 주로 아연광의 황화물, 흑연광, 황산연광 등의 광물로 존재하며, 이 광석으로부터 또는 산업분야에서 사용하는 재활용 금속 등에서, 납을 사용하는 공장의 산업 폐수 등에서 흘러나와 공기, 토지, 강, 호수양 등 우리 주변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옛 로마 제국 시대에 납은 화장품, 외용약, 수도관, 식기, 용기와 뚜껑, 접시, 화폐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던 금속이었다. 이 시대에는 포도주를 잘 발효시키기 위해 미발효 포도액을 납으로 만든 용기에 넣어 숙성시켰고, 또한 포도주 숙성 시 포도주의 풍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납을 첨가하였다고 한다. 대부분의 로마 상류계층의 납 중독은 주로 식사를 통해서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 납이 인체에 독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19세기 후반부터 드러나기 시작한 이래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었으며, 현재는 납 축전지(lead-acid battery)에 주로 많이 쓰인다.
2. 납이 들어가는 물품
납은 현재에도 부드럽고 다른 물질과 잘 섞여 가공이 쉽으며, 색상 조성이 잘 된다는 이점이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페인트, 포장지, 도자기 유약, 학용품, 축전(열)기, 탄약, 용접 합금 등 산업계에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어 관심을 가지고 유의해야 할 유해금속이다.
3. 우리는 어떻게 납에 노출될까?
우리가 납에 노출되는 경로는 매우 다양하다. 호흡을 할 때, 물을 마실 때, 음식을 먹을 때 등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우리는 납에 오염될 수 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정상적인 가정급수 중 납의 농도는 10~20㎍/ℓ로 성인 1일 음용수 소비량이 2ℓ일 때 납의 1일 섭취량은 10~20㎍ 또는 그 이상이 될 수 있다.
대기 중의 납 함량은 농촌지역의 경우 0.l㎍/㎥ 정도이고, 도시는 전형적으로 0.5~2㎍/㎥ 수준으로 존재하는 하고 있다. 직업적으로는 용접, 주물 작업, 도자기, 페인트, 배터리(제작 및 소각), 납 제련, 배관, 납땜, 철공소, 유리착색 등의 제작, 주유소, 카센터 등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납에 오염될 수 있다. 그 외의 일반사람들은 급수관을 통해, 페인트를 칠한 면이 낡아 부스러져 공기를 통해, 통조림 내벽에 오염된 식품을 통해, 신문지를 씹거나 태울 때, 납 성분이 든 조리기구로 요리할 때, 먼지를 통해 주로 납에 노출된다. 어린이들은 납이 함유된 페인트를 칠한 장난감을 핥거나 삼키게 될 경우 납에 오염될 수 있다.
3. 우리 몸에 들어온 납은 어떻게 작용할까?
납은 호흡을 통해 폐로 들어오거나 마시는 물과 음식물을 통해 체내로 들어온다. 몸에 들어온 납의 80%는 배설되며 약 20%가 혈액 중의 적혈구, 뼈와 이빨, 신장, 골수, 간과 뇌에 축적된다. 호흡으로 체내에 들어온 납은 입자의 크기와 용해도에 따라 배설 방법이 다른데, 코나 기관지에 쌓인 입자들은 점막의 섬모운동에 의해 이동되어 폐포에서 용해되어 대식세포에 의해 분해된다. 흡수된 납의 체내 대사는 칼슘 대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성인은 95%, 어린이는 70%가 뼈와 치아에 납이 저장된다. 뼈의 무기질 침착이 활발한 어린이들은 납의 흡수와 방출이 빠르므로 성인들보다 납에 더 위험할 수 있다. 체내에 들어온 납은 대변과 소변으로 서서히 배설되는데, 일반적으로 장기간 과량의 납에 노출될수록 소변보다 대변으로 배출된다.
납이 다년간 체내에 축적되면 모든 조직에 영향을 주지만 특히 신장과 면역체계에 문제를 일으켜 신경조직에 심각한 손상을 준다. 성인의 경우 높은 농도의 납에 노출되면 말초 신경계에 이상을 가져와 현기증, 편두통, 불면증, 경련, 발작 증세가 나타난다. 어린이들에게는 특히 신경독성이 많이 나타난다. 즉, 인지 능력저하, 행동발달, 학습 장애에 문제가 생겨 학교생활에 지장을 준다. 그 외 독성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4. 가정에서 납 오염을 줄이는 방법을 알아보자
식품을 개봉한 채 캔에 두지 말고, 유약 처리가 완전하지 않는 도자기류에 조리하거나 음식을 담지 않는다. 어린이들이 더럽거나 페인트를 칠한 물건을 입에 넣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집 안, 바닥과 창틀 등은 깨끗이 청소하고, 장난감, 고무젖꼭지, 천으로 만든 인형들은 정기적으로 씻어 주어야 한다. 식사나 잠자기 전에 손을 꼭 씻는다. 시금치나 우유제품처럼 철분과 칼슘이 풍부하고 저지방 식품을 먹는 것이 납의 흡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화장품 바로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장품 위해물질을 바로 알아보자!(5) - 다이옥신이란? (0) | 2023.01.16 |
---|---|
화장품 위해물질을 바로 알아보자!(4) - 메틸수은(Methylmercury) (0) | 2023.01.16 |
화장품 위해물질을 바로 알아보자!(1) - 비소(Arsenic) (0) | 2023.01.15 |
화장품의 위해평가 확인하기 (0) | 2023.01.15 |
수입, 제조, 판매가 금지되는 화장품과 처벌기준 (0) | 2023.01.14 |
댓글